본문 바로가기
반도체 공부하기

⚡ 반도체 심화 개념: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는 이유가 있다

by AI먀 2025. 7. 25.
반응형

AI 시대를 이끄는 핵심 기술 중 하나인 반도체. 그중에서도 'P-N 접합'이라는 구조가 만들어내는 전류의 방향성은 디지털 회로의 ON/OFF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원리입니다. 오늘은 이 개념을 더 깊이 파고들며, Forward bias / Reverse bias, 그리고 그 이면에 숨어 있는 전계, 밴드갭, 페르미 레벨, 캐리어에 대해 살펴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❓P-N 접합, 전류가 항상 흐르진 않아요!

이전 글에서 p형과 n형 반도체를 붙이면 P-N 접합이 생기고,
이 구조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고 설명했어요.

그런데 말이에요,
전압을 건다고 무조건 전류가 흐르는 건 아닙니다.

✅ 전압을 어떻게 거느냐에 따라
전류가 흐르기도 하고,
아예 안 흐르기도 합니다!

이것을 설명해주는 중요한 개념이 바로
Forward bias (순방향 바이어스)Reverse bias (역방향 바이어스) 입니다.

 

🔌 바이어스(Bias)란 무엇일까?

P형과 N형 반도체를 붙인 구조가 바로 P-N 접합입니다. 여기에 전압을 걸면, 전류가 흐르기도 하고, 안 흐르기도 합니다.

이때 전압을 걸어주는 방식에 따라 Forward bias(순방향 바이어스)와 Reverse bias(역방향 바이어스)로 나뉘는데요,

✅ Forward bias: P형에 (+), N형에 (-) 전압 → 전류가 잘 흐름

❌ Reverse bias: P형에 (-), N형에 (+) 전압 →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음

순방향 바이어스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역방향 바이어스
[ + ] → P — N → [ − ]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[ − ] → P — N → [ + ]
전류 흐름 O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전류 흐름 X

왜 이런 차이가 생길까요?
이제부터 그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세 가지 개념을 설명할게요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📘 1. 밴드갭(Band Gap) – 전자의 움직임을 가로막는 ‘장벽’

모든 고체는 전자가 있을 수 있는 에너지 영역(밴드)을 가지고 있어요.

가장 낮은 에너지 영역 = 원자에 붙어 있는 전자(Valence Band)

높은 에너지 영역 = 전류를 만들 수 있는 자유전자(Conduction Band)

그 사이에는 점프할 수 없는 빈 공간 = 밴드갭(Band Gap)
📌 밴드갭은 전자가 전류로 작동할 수 있을지를 결정합니다.

물질 종류 밴드갭 크기 특징
도체 거의 없음 전자가 자유롭게 이동함
절연체 매우 큼 전자가 거의 이동 못함
반도체 적당히 있음 외부 조건에 따라 전자 이동 가능

 

📘 2. 캐리어(Carrier) – 전류를 실제로 운반하는 존재

전류는 전자의 흐름이라고 배웠죠?
하지만 반도체에서는 2가지 입자가 전류를 운반합니다.

캐리어 종류 설명 예시
전자 말 그대로 ‘전기’를 띤 입자 n형 반도체 주 캐리어
정공(Hole) 전자가 빠져나가 생긴 빈 자리 → (+) 역할 p형 반도체 주 캐리어

도핑을 통해 전자 또는 정공을 많게 만들면,
전류 흐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거예요.

 

📘 3. 전계(Electric Field) – 전하를 움직이게 만드는 힘

전계를 쉽게 말하면 ‘전자를 움직이게 하는 힘’이에요.
외부에서 전압을 걸면 이 전계가 만들어지고,
캐리어들이 움직이기 시작합니다.

Forward bias일 땐 이 전계가 장벽을 낮춰서 전류가 흐르게 해주고,
Reverse bias일 땐 장벽을 더 키워서 전류를 막는 역할을 해요.

 

🔍 페르미 레벨, 가전자대, 전도대란?

반도체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려면, 에너지 밴드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수입니다.

전도대(Conduction Band): 전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에너지 영역

가전자대(Valence Band): 전자가 원자에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는 에너지 영역

밴드갭(Band Gap): 전도대와 가전자대 사이의 에너지 차이. 전자가 이동하려면 이 간격을 뛰어넘어야 함

페르미 레벨(Fermi Level): 전자가 50% 확률로 존재할 수 있는 에너지 준위.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기준점입니다.

P형, N형 반도체에서는 도핑으로 인해 페르미 레벨의 위치가 달라집니다:

n형: 페르미 레벨이 전도대 쪽에 가까움 → 전자가 주요 캐리어

p형: 페르미 레벨이 가전자대 쪽에 가까움 → 정공이 주요 캐리어

 

밴드갭
밴드갭

📐 실제 소자에서 Forward/Reverse는 어떻게 쓰일까?

📌 다이오드: 한쪽으로만 전류가 흐르도록 만드는 소자
📌 트랜지스터: 여러 개의 P-N 접합을 조합해 스위칭과 증폭 기능 구현
📌 센서 회로: Reverse bias 상태에서 소자의 민감도를 활용

위는 반도체 소자의 종류라는 것만 우선 알아두셔도 현재로서는 충분합니다!

이처럼 Forward/Reverse bias는
단순히 전류 흐름을 넘어서 기능의 핵심이 됩니다.

 

 

🧠 마무리 정리

P-N 접합은 바이어스 조건에 따라 전류의 흐름이 결정됨

Forward bias: 장벽이 낮아져 전류 흐름 가능

Reverse bias: 장벽이 높아져 전류 흐름 차단

밴드 구조와 페르미 레벨의 개념을 이해하면 반도체의 동작 원리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음

 

다음 글에서는 실제 다이오드 회로 예시, 응용 소자 동작 방식을 중심으로
반도체 소자의 세계를 더 깊이 파고들어 볼게요!

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시고, 시리즈가 유익하셨다면 구독과 공감 부탁드려요 😄